본문 바로가기
영상검사

조영제란 무엇인가요? 부작용은 없을까?

by 빅타이거어 2025. 8. 9.

병원에서 CT나 MRI 검사를 받을 때 “조영제를 사용하겠습니다”라는 말을 듣고 걱정되셨던 적 있으신가요? 조영제가 정확히 어떤 역할을 하는지, 내 몸에 무해한 것인지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일반인도 이해하기 쉽게 조영제의 정의, 종류, 역할, 그리고 부작용 가능성까지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1. 조영제란 무엇인가요?

조영제(Contrast Media)는 CT, MRI, 초음파 등의 영상검사에서 인체 내부 조직이나 혈관을 더 뚜렷하게 보이도록 돕는 약물입니다. 조영제를 사용하면 장기, 혈관, 병변 등이 영상상에서 더 명확히 구분되어 진단의 정확도가 높아집니다.

조영제가 필요한 이유

  • 조직 밀도가 비슷해 구분이 어려운 경우
  • 혈관이나 종양의 경계 확인
  • 염증, 출혈, 종양, 협착 등 병변 진단

2. 조영제의 종류

영상검사 방법에 따라 사용하는 조영제의 성분도 다릅니다.

 CT 조영제

  • 성분: 요오드(Iodine) 기반
  • 투여 방법: 정맥 주사 또는 경구 복용
  • 특징: 혈관과 장기를 선명하게 보이게 함

MRI 조영제

  • 성분: 가돌리늄(Gadolinium) 기반
  • 투여 방법: 정맥 주사
  • 특징: 연부 조직과 병변을 구분하기 쉽게 함

 초음파 조영제 (비교적 드물게 사용)

  • 성분: 미세 기포 형태
  • 용도: 간 질환, 심장 초음파 등에서 제한적으로 사용

3. 조영제 사용 과정

검사 전 의료진이 조영제 사용 여부를 판단하며, 알레르기 이력이나 신장 기능 상태를 확인합니다. 조영제는 주로 정맥 주사로 투여되며, 검사가 끝나면 몸에서 소변으로 배출됩니다.

조영제는 대개 검사 10~20분 이내 효과를 발휘하며, 검사 종료 후 24시간 이내 대부분 체외로 배출됩니다.

4. 조영제 부작용은 없을까?

조영제는 대다수의 사람에게 안전하게 사용되지만, 드물게 경미한 부작용부터 드물게 심각한 알레르기 반응까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대표적인 부작용

구분 증상 빈도
경증 열감, 금속 맛, 구역감, 두통 5~10%
중등도 두드러기, 어지러움, 혈압 저하 1% 미만
중증 아나필락시스(호흡곤란, 쇼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