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상검사

MRI 검사 전 금속 제거, 꼭 해야 하나요?

by 빅타이거어 2025. 8. 5.

 

MRI(자기공명영상)는 정밀한 영상 진단을 위해 널리 사용되는 검사지만, 사전에 반드시 지켜야 할 중요한 안전 수칙이 있습니다. 그 중 가장 기본이면서 중요한 것이 바로 ‘몸에 있는 모든 금속 제거’입니다.

단순한 귀걸이나 시계부터, 안경, 벨트, 브래지어 와이어, 틀니, 헤어핀 등도 모두 MRI실 입장 전 제거해야 합니다. 그렇다면 왜 그렇게 철저하게 금속을 제거하라고 할까요?

MRI의 원리와 금속의 위험성

MRI는 강력한 자기장과 고주파(RF) 자극을 통해 인체 내부의 수소 원자 반응을 영상화합니다. 이 자기장은 무려 1.5~3 테슬라(T) 수준으로, 지구 자기장의 약 30,000~60,000배에 해당하는 강력한 자기장입니다.

이런 자기장 안에 금속이 들어오면 다음과 같은 위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① 금속이 자기장에 끌려감: MRI 기기 안에 있는 금속은 강한 자기장에 의해 끌려가면서 물리적 부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② 영상 왜곡: 금속이 주변 자기장을 방해하여 영상에 왜곡(artifact)이 발생해 진단이 부정확해질 수 있습니다.
  • ③ 금속 발열: 일부 금속은 고주파에 의해 과열되어 피부 화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몸에 있는 금속, 모두 위험할까?

금속이라고 모두 위험한 것은 아닙니다. 금속의 종류, 자성 여부, 이식 방식 등에 따라 MRI 촬영 가능 여부가 달라집니다. 아래는 대표적인 금속별 MRI 가능 여부입니다.

금속 종류 설명 MRI 가능 여부
귀걸이, 목걸이, 시계 자성 금속 포함 가능성 높음 제거 필요
치과 보철물 (크라운 등) 일반적으로 MRI 안전 가능
심장 박동기(Pacemaker) 자기장에 민감, 작동 오류 가능 금기 (대부분)
정형외과용 금속(핀, 나사) 재질과 위치에 따라 다름 사전 확인 필요
문신, 영구 화장 일부 잉크에 금속 성분 포함 화상 가능성 있음

검사 전 체크리스트

아래 항목은 MRI 전 반드시 확인하고 제거 또는 신고해야 할 사항입니다.

  • 귀걸이, 목걸이, 시계, 반지 등 모든 액세서리
  • 헤어핀, 브래지어 와이어, 벨트, 옷의 지퍼
  • 틀니, 보청기, 콘택트렌즈
  • 지갑, 신용카드, 교통카드 (자기장 손상 가능)
  • 의료기기 삽입 여부(심장박동기, 인공관절 등)
  • 문신이나 영구화장 여부

의료진에게 반드시 알려야 할 사항

아래 항목 중 해당되는 경우, MRI 예약 전 반드시 의료진에게 알려야 합니다. 경우에 따라 MRI가 금기되거나 대체 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 심장박동기, 삽입형 제세동기
  • 뇌동맥류 클립
  • 인공 고관절, 척추 금속 기구
  • 귀 속 보청기, 눈 속 인공렌즈
  • 과거 총상, 금속 파편 이물

결론: MRI 금속 제거는 필수 안전 수칙

MRI는 방사선 없이 정밀한 진단이 가능한 훌륭한 검사입니다. 그러나 강력한 자기장 환경에서 금속은 심각한 위험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검사 전 철저한 금속 제거는 반드시 필요합니다.

본인의 몸속에 금속이 있거나 제거가 어려운 경우라도 의료진과 충분히 상담</strong하면 대부분은 대체 검사로 조정하거나, MRI 안전 여부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불편함보다는 **정확한 진단과 안전한 검사**가 더 중요하다는 사실, 꼭 기억해 주세요.

ⓒ 2025 건강정보연구소.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