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상검사

영상의학과란? 어떤 검사를 진행하는 곳인가요?

by 빅타이거어 2025. 8. 5.

병원에서 진료를 받다 보면 “영상의학과로 가세요”라는 말을 들을 때가 있습니다. 그런데 영상의학과는 정확히 어떤 과이고, 어떤 검사를 담당하는 곳일까요? 이 글에서는 영상의학과의 정의, 주요 검사 종류, 그리고 전문의의 역할까지 쉽게 정리해드립니다.

영상의학과란?

영상의학과(Radiology Department)는 X-ray, CT, MRI, 초음파 등의 장비를 이용해 인체 내부를 촬영하고, 질환을 진단하는 전문 진료과입니다. 환자가 직접 진료를 받는 과는 아니며, 다른 진료과의 요청에 따라 검사를 시행하고 결과를 판독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영상의학과의 주요 기능

  • 영상 검사 시행: 의사의 요청에 따라 필요한 영상검사 진행
  • 영상 판독: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고 진단 보고서 작성
  • 중재적 시술(IR): 혈관 치료, 조직 생검, 배액술 등 시술 진행

영상의학과에서 진행하는 주요 검사

1. X-ray(엑스레이) 검사

가장 기본적인 영상검사로, 뼈, 폐, 치아 등의 구조를 확인할 때 사용됩니다. 건강검진 시 흔히 시행되는 검사입니다.

2. CT(컴퓨터 단층촬영)

X-ray를 단면 촬영하여 장기, 혈관, 뼈 구조를 입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검사입니다. 응급 상황에서 빠르게 병변을 진단하는 데 활용됩니다.

3. MRI(자기공명영상)

강한 자기장과 라디오파를 이용해 뇌, 척추, 인대, 연부조직 등을 정밀하게 촬영합니다. 방사선을 사용하지 않아 안전합니다.

4. 초음파 검사

고주파 음파를 이용한 검사로, 간, 신장, 갑상선, 심장, 자궁 등 다양한 장기의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방사선 노출이 없고, 실시간 관찰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5. 투시 검사(Fluoroscopy)

조영제를 사용하여 장기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관찰하는 검사입니다. 위장관이나 요로계 검사에 활용됩니다.

6. 혈관조영술(Angiography)

혈관 내 조영제를 주입하여 혈관의 상태를 확인하는 검사입니다. 협심증, 뇌출혈, 혈관 협착 등을 진단하거나 치료하는 데 사용됩니다.

영상의학과 전문의는 무슨 일을 하나요?

영상의학과 전문의는 단순히 영상만 보는 의사가 아닙니다. 다양한 질환을 영상만으로 정확히 구별하고 해석하는 전문적인 판단 능력이 요구됩니다.

  • 영상 판독 및 진단: CT, MRI, X-ray 등 모든 영상자료를 분석
  • 시술 시행: 조직검사, 고주파 치료, 혈관색전술 등 중재적 시술 담당
  • 다른 진료과 협진: 수술 전·후, 응급 상황 등에서 협진 역할

영상의학과를 언제 이용하게 되나요?

다음과 같은 경우 영상의학과에서 검사를 받게 됩니다.

  • 두통, 어지럼증, 사고 등으로 CT나 MRI가 필요한 경우
  • 건강검진 시 흉부 X-ray, 복부 초음파 등을 받을 때
  • 복통, 출혈 등 정확한 진단이 필요한 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