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상검사

영상검사 결과지 해석하는 방법

by 빅타이거어 2025. 8. 5.

영상검사 결과지 해석하는 방법

병원에서 CT, MRI, X-ray 등 영상검사를 받은 후, “영상의학과 판독 결과지”를 받아본 적이 있으신가요? 전문 용어로 가득한 이 결과지를 어떻게 이해해야 할지 막막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일반인이 영상검사 결과지를 올바르게 이해하는 방법을 쉽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1. 영상검사 결과지는 누가 작성하나요?

영상검사 결과지는 영상의학과 전문의가 촬영된 영상을 판독한 뒤 작성하는 공식 진단 소견서입니다. 주치의가 치료 방향을 정하는 데 참고 자료로 활용하며, 환자가 직접 열람도 가능합니다.

2. 결과지 구성은 어떻게 되어 있나요?

영상검사 결과지는 일반적으로 아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검사명: 예: Brain MRI, Chest CT 등
  • 검사 일시 / 판독 일시: 실제 촬영 및 판독한 날짜
  • Clinical Information (임상정보): 의뢰 사유, 증상
  • Findings (소견): 영상에서 확인된 이상 또는 정상 소견
  • Impression (판독의견): 요약된 결론 및 임상적 해석

3. 결과지에서 자주 등장하는 용어 정리

용어 의미
No significant abnormality 특이 소견 없음 (정상 범위)
Unremarkable 정상 또는 이상 없음
Suspicious lesion 병변 의심, 추가 검사 필요
Needs correlation 다른 검사 또는 임상정보와 연계 필요
Interval change 이전 검사와 비교했을 때 변화 있음
Hyperintense / Hypointense (MRI 용어) 영상에서 밝게/어둡게 보이는 부위
Calcification 석회화(돌처럼 굳은 조직), 양성 가능성 높음

4. 영상판독 예시 문장 해석

예시 1:
“There is a 5mm low-density nodule in the right lower lobe of the lung.”
→ 우하엽(오른쪽 폐 아래)에 5mm 크기의 저밀도 결절이 있음. 대부분은 양성이지만, 추적관찰 필요할 수 있음.

예시 2:
“Mild disc bulging at L4-5 level without spinal cord compression.”
→ L4~L5 요추 디스크가 약간 돌출돼 있으나, 신경 압박은 없음. 경미한 퇴행성 변화 가능.

예시 3:
“No evidence of acute infarction or hemorrhage.”
→ 급성 뇌경색 또는 출혈의 증거는 없음. 즉시 치료 필요한 병변은 없음.

5. 결과지는 ‘진단서’가 아닌 ‘의견서’입니다

영상검사 결과지는 최종 진단서가 아닌 참고용 의견서입니다. 영상의학과 전문의가 영상을 기반으로 소견을 제시한 것이며, 진단은 반드시 주치의가 임상 소견과 함께 종합적으로 판단합니다.

6. 결과지를 볼 때 주의할 점

  • 소견이 있다고 무조건 질환은 아님: 경미한 이상도 기록되므로 과도한 걱정은 금물
  • 판독 소견은 요약 정보: 정확한 설명은 주치의에게 문의
  • 과거 검사와 비교 여부 확인: “변화 없음(No interval change)” 등 비교 소견 중요

7. 결과지를 어떻게 활용해야 할까요?

영상검사 결과지를 받은 후에는 다음과 같이 활용할 수 있습니다.

  • 병원 진료 전 미리 확인: 결과지를 이해하면 주치의 상담 시 도움이 됩니다.
  • 타 병원 이동 시 지참: 정밀 진단을 위해 이전 영상자료와 결과지는 매우 중요합니다.
  • 정기적 추적관찰 관리: 결절, 낭종, 퇴행성 변화 등은 일정 기간 후 재검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8. 결과지를 해석할 때 도움이 되는 팁

  • 낯선 용어는 검색보다 전문가에게: 의료정보는 신뢰 가능한 경로에서 확인
  • 결과지 복사 요청 가능: 병원에 요청하면 복사본 또는 PDF 파일 제공
  • 동일 병